![]() |
고용 노동부 모성 보호제도 총정리 |
예비맘과 워킹맘 여러분 일과 육아를 함께 하려면 여러 가지 고민이 많으시죠? 다행이 우리나라에는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다양한 모성 보호 제도가 마련되어 있답니다! 오늘은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모성 보호 제도를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볼께요.💡
1. 출산 전후 휴가 (출산휴가) 🍼
출산을 앞둔 예비맘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제도!
✔ 누가 받을 수 있나요?모든 여성 근로자가 받을 수 있어요! (임신 중인 근로자라면 누구나!)
✔ 얼마나 쉴 수 있나요?총 90일 (쌍둥이 출산 시 120일) 동안 쉴 수 있어요.
✔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사업주가 60일(대기업 90일)동안 통상 임금을 지급하고 나머지 기간은 고용 보험에서 지원 합니다.
💡Tip: 출산휴가는 출산일 전에도 사용할 수 있어요!
2. 육아휴직 👶🏻
육아도 중요하죠! 출산 후에도 아기를 돌볼 수 있도록 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있어요. 육아 휴직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신청, 사용하는 휴직을 말합니다.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남녀 근로자 모두 가능합니다! (아빠도 가능해요!)
✔ 얼마 동안 사용할 수 있나요? 최대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어요.
✔ 급여는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첫 3개월: 월 통상 임금의 80% (최대 150만 원), 4개월~12개월: 월 통상 임금의 50% (최대 120만 원)까지 지원합니다.
💡Tip: 아빠가 육아 휴직을 사용하면 아빠의 육아 휴직 보너스 제로 첫 3개월 동안 급여를 100% 받을 수 있어요!
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 ⏳
육아 휴직은 부담스럽지만, 업무와 육아를 모두 병행하고 싶다면? 근로 시간 단축제를 활용해보세요!
✔ 누가 받을 수 있나요?육아 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근로자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 근무 시간은 얼마나 줄어드나요? 하루 15~35시간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어요.
✔ 급여는 어떻게 되나요? 줄어든 근로 시간에 비례하여 급여를 지급하며, 고용 보험에서 일부 보전해줍니다.
💡Tip: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제도 육아 휴직과 마찬가지로 최대 1년 간 사용할 수 있어요!
4. 출산·육아기 고용안정 지원금 💰
출산휴가나 육아 휴직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예요.
✔ 사업주 지원금
- 출산휴가를 부여한 사업주에게 최대 1,000만 원 지원
- 육아 휴직을 부여한 사업주에게 최대 1년 간 월 30만 원 지원
✔ 근로자 지원금 육아 휴직 급여 외에도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 급여 등을 추가로 지원 받을 수 있어요!
💡Tip: 사업주가 제도를 잘 모르면, 직접 알려주고 활용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방법이에요!
5. 임신 중 근로시간 단축제 🤰
임신 중에도 몸이 힘들다면 근로 시간 단축이 가능해요!
✔ 누가 받을 수 있나요?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여성 근로자
✔ 어떻게 신청하나요? 사업주에게 신청하면 하루 2시간 단축 근무 가능! (임금은 100% 보장)
💡Tip: 힘든 업무는 조정 요청도 가능하니 꼭 활용하세요!
🎁 엄마도, 아빠도 꼭 챙겨야 할 권리!
출산과 육아는 온 가족이 함께하는 일이죠! 💕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모성 보호제도를 활용해서 더 행복한 육아 생활을 누려보세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고객센터(☎1350)로 문의해보세요!